분석의 본질 1. 분석의 본질 악식분석이란 작품의 구조에 관한 탐구이다. 작곡가는 남들이 만들어 놓은 훌륭한 구조물로부터 많은 것을 배우고, 그 구조물을 더욱 발전시키면서 작품을 만들어 낸다. 작곡가가 아니더라도 연주자가 작품의 본질과 음악인으로서의 소양을 갖추기 위해서도, 작품의 구조와 기능에 관.. 음악의 이해/음악분석 2008.12.09
박과 리듬의 종류 2) 박과 리듬(Beat & Rhythm) 일정한 시간 속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질서 있게 나타나는 단위를 박 이라하고, 그 박을 타고 흐르는 음의 장단, 음의 셈여림, 음이 없는 공간 등이 결합하여 리듬이 형성된다. 이러한 리듬은 여러 가지 박자들 속에서 나타나는데, 박자는 박의 강약에 의해 나누워진다. 서양음악.. 음악의 이해/음악분석 2008.12.09
교회선법 3. 교회선법 고대 그리스나 비잔틴 등에서 활용하고 있었던 것을 중세의 이론가들이 그레고리오 성가를 정리하면서 선법의 개념으로 도입했다. 중세성가를 분류하는 목적으로 도입된 교회선법은 당시 교회음악에 사용하던 음계를 말하며, 각 선법은 그 음렬의 구성에 따라 고유의 성질을 가진다. 1)선.. 음악의 이해/음악분석 2008.12.08
16세기 대위법 4. 16세기 대위법 대위법(counterpoint)이란 말은 ‘점에 대한 점’ 즉, 음표에 대한 음표를 말한다. 2개 이상의 독립된 선율을 동시에 조화롭게 결합하는 다성 음악인 대위법은, 성부와 성부사이의 수평적 움직임으로 긴장과 이완을 유도하는 작곡기법이다. 긴장감을 유도하기위해서는 순간적으로 불안정.. 음악의 이해/음악분석 2008.12.08
팔레스트리나 ‘미사 오소서 그리스도의 신부여’ 분석 <분석 작품> 팔레스트리나 ‘미사 오소서 그리스도의 신부여’ (Missa Veni sponsa christi)중 Kyrie .......... 악보 참조 ■모방방법 * 4성부인 기리에의 주요선율이 소프라노성부에서 처음 나옴 * 제시된 선율4마디가 마디2에서 5도 아래음정으로 알토성부로 출현 * 마디6에서 테너성부, 마디7에서 베이스 성.. 음악의 이해/음악분석 2008.12.08
오스티나토 바흐의_B단조_미사_중_십자가에_못_박히시어.mp3 5. 오스티나토 오스티나토(Ostinato)는 ‘고집스러운’ 뜻의 이탈리아어이며 반복선율이 베이스 성부에 나올 때 오스티나토 베이스라 한다. 이것은 베이스가 반복될 때마다 다른 성부에 새로운 선율을 지속적으로 만들어 나가는 일종의 변주곡 형식에 포.. 음악의 이해/음악분석 2008.12.08
음악구조의 요소 6. 음악구조의 요소 1) 동기(Motive) 음악 구조 단위 중 가장 작은 것으로 음악의 핵이라 할 수 있는 에너지가 함축되어 있다. 이것은 다른 동기와의 결합으로 여러 방향으로 변화되어지는 음악적 성장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동기 변형 동형 진행방법 리듬확대와 축소에 의한 방법 ■동기발전 동기 .. 음악의 이해/음악분석 2008.12.08
음악형식의 종류 7. 음악형식의 종류 1)가곡형식(Lied form) 악곡형식의 가장 작은 단위의 동기에서부터 발전하여 큰악절이 만들어지는데, 이렇게 완전한 악절로 매듭 지워질 때 가곡형식이 갖추어진다. 간단한 성악곡조나 작은 기악곡조가 이 형식에 속한다. ■한도막 형식(1부형식,One part form) 하나의 큰악절로 이루어진 .. 음악의 이해/음악분석 2008.12.08
리토르렐로 형식과 협주곡 8. 리토르넬로 형식 리토르넬로(ritornello)란 투티에 의해 재현되는 악절 전체 또는 그 일부를 말하며 바로크 시대의 리토르넬로 아리아에서 유래한 것이다. 성악곡인 리토르넬로 아리아는 바로크 중기인 1680년에 나타난 관현악 음악인 협주곡에서 리토르넬로 형식을 찾아 볼 수 있다. 리토르넬로 형식.. 음악의 이해/음악분석 2008.12.08
5부형식 10. 5부 형식 3부형식의 구성원리를 확대하여 발전된 것으로 규모가 큰 악곡에 만들어진다. 3부형식이 “제시-대조-반복”의 원리라면, 5부 형식은 3부 형식에서 대조-반복을 한차례 되풀이하여 “제시-대조-반복-대조-반복”으로 구성된 악곡이다. 그런데 되풀이되어지는 “대조-반복”부분은 앞부분.. 음악의 이해/음악분석 2008.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