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의 이해/음악분석

리토르렐로 형식과 협주곡

우담 윤대근 2008. 12. 8. 23:43

8. 리토르넬로 형식

 

 

  리토르넬로(ritornello)란 투티에 의해 재현되는 악절 전체 또는 그 일부를 말하며 바로크 시대의 리토르넬로 아리아에서 유래한 것이다. 성악곡인 리토르넬로 아리아는 바로크 중기인 1680년에 나타난 관현악 음악인 협주곡에서 리토르넬로 형식을 찾아 볼 수 있다. 리토르넬로 형식의 확립은 협주곡 초기발전에 공헌이 큰 주제페 토렐리(Giuseppe Torelli)에 의해서다. 대부분의 바로크 협주곡은 빠름-느림-빠름의 세 악장으로 이루어지는데, 그 중 빠른 악장에 리토르넬로 형식 만들어 진다.

 

■구조와 짜임새

먼저 관현악에 의한 투티(tutti)의 리토르넬로가 시작되며, 그 다음  독주악기(군)에 의해 새로운 소재의 에피소드(epsode)가 제시된다. 그 후 투티가 리토르넬로 일부 또는 전체를 새로운 조로 재현시켜나간다. 이와 같이 독주악기(군)의 에피소드와 투티의 리토르넬로가 몇 차례 이루어진 다음, 처음의 리토르넬로와 거의 동일한 리토르넬로를 맨 처음의 조인 으뜸조로 재현함으로서 곡을 끝맺는다. 따라서 중간의 리토르렐로와 에피소드는 재현될 때마다 새로운 조로 조바꿈이 일어난다.

 

■교과서적 리토르넬로 형식 도표

 

R1(Tutti)

E1(solo)

R2(Tutti)

E2(solo)

R3(Tutti)

R(Tutti)

으뜸조

조바꿈

새로운조

조바꿈

새로운조

으뜸조


9.협주곡(Concerto)  

 

  바로크중기인 1680년대에 나타난 새로운 종류의 관현악음악인  콘체르토는 라틴어 concertare에서 유래한 것으로 다투다, 싸우다, 논쟁하다 의 뜻으로 대립과 투쟁을 의미하지만 동일한 철자의 이탈리아어에서는 찬성하다, 화합하다, 일치하다. 의 조화와 일치를 의미하므로 반대어의 뜻을 가지고 있다. 보편적으로 볼 때 기악 콘체르토가 나오기 전인 16세기부터 17세기 후반 기악콘체르토가 나타나기 전까지 이탈리아어의 의미에 따라 대립, 투쟁보다는 조화, 일치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고,  성악성부에 기악이 참여할 경우 ‘반주가 붙여진’정도의 의미를 가졌다.  그래서 17세기중반 까지도 콘체르토는 “합주”혹은 “관현악”을 뜻하였다.

 

17세기말 기악 콘체르토가 나타났으며, 그 특징은

1) 관현악과 독주악기의 대조

2) 탄탄한 베이스와 잘 조화된 위(上)성부에 의한 테스처(texture)

3) 장.단 조성체계에 기초한 음악적 조직

4) 독립된 여러 악장의 결합으로 대규모의 작품구성

 

  협주곡은 독주 협주곡과 합주 협주곡으로 나누어지는데, 합주 협주곡의 독주 악기군(대락2~4개 독주악기)을 콘체르티노(concertino), 그에 대항하는 관현악을 콘체르토 그로소(concerto grosso)라 한다. 협주곡은 독주악기와  관현악의  대립 속에서도 아름다운 조화의 미를 표현하는 음향과, 관현악 부분과 독주악기부분의 독립성에 의한 선율의  대조 등이  발전을 거듭하여 18세기 전반에는 그 성숙한 형태가 더욱 더 다양하게 나타난다.  

<분석 작품>

마르첼로 ‘오보에 협주곡 c 단조’ 중 1악장

마르첼로,_오보에_협주곡c단조_1악장.mp3

 

마르첼로,_오보에_협주곡c단조_1악장.mp3
1.09MB

'음악의 이해 > 음악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악구조의 요소  (0) 2008.12.08
음악형식의 종류  (0) 2008.12.08
5부형식  (0) 2008.12.08
화성의 진행  (0) 2008.12.08
다성음악의 형식  (0) 2008.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