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의 이해/음악분석

다성음악의 형식

우담 윤대근 2008. 12. 8. 23:38

12. 다성음악의 형식


1) 카논(Canon)

  모방기법(imitation)중 하나인 카논은 처음 주어진 선율을 다른 성부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그대로 따라가는 음악이다. 주어진 성부와 이를 모방하는 성부의 음정 차이에 따라 1도 카논, 2도 카논 3도 카논 등으로, 또 성부의 수에 따라 2성, 3성, 4성 카논으로 불린다.

 

■카논의 모방방법

 

*확대카논 : 음표의 시가를 늘여서 모방

*축소카논 : 음표의 시가를 줄여서 모방

*반행카논 : 거울에 비치는 모양처럼 반대방향으로 모방

*역행카논 : 카논주제의 끝부분부터 거꾸로 모방


2)푸가(Fuga, Fugue)

  다성음악 가운데 가장 완전한 형식이 푸가이다. 푸가는 주어진 성부를 카논처럼 다른 성부가 모방하는 방법에서 시작하며, 주제에 대한 새로운 주제를 대위시키는 등  매우 자유롭게 발전시켜나간다. 푸가는 각성부의 독립성이 최대한으로 보장되는 동시에 하나의 음악적인 아이디어를 전체 작품에 일관되게 전개 발전시키는 대위법 음악의 절정이라 할 수 있다.

 

■주제(subject, 라틴어로 dux)

  보통 하나의 선율이 한 성부에서 제시되는데, 이를 푸가의 주제라 한다. 주제의 끝은 대체로 다른 성부에서 모방하는 선율이 나오기 전까지이며, 그 길이는 매우 다양하고 전체적으로 어느 정도 음악적 완결감을 준다.

 

■응답(answer, 라틴어로 comes)

  제시된 주제의 끝에 이를 모방하는 선율이 나오는데, 그 선율을 응답이라 한다. 응답은 주제의 음정보다 완전5도 음정의 간격으로 모방되는데, 주제의 시작음이 딸림음일 경우는 4도위 으뜸음으로 조정되어 응답한다. 그 이유는 딸림음을 완전5도 그대로 모방할 경우 응답주제가 딸림조로 조바꿈하는 조성 변화를 느낄 수 있어 원조를 그대로 유지할 수 없기 때문이다.

 

*실제응답 : 완전5도위로 그대로 모방하는 것

*조성응답 : 주제 첫머리부분이 딸림음일 경우 완전4도위인 으뜸음으로 변화된 모방

 

■대주제(counter subject)

  주제가 제시되고 다른 성부에서 응답이 제시될 때 주제를 제시했던 성부가 주제에 이어 응답에 대한 대선율을 연주하는 부분을 말한다. 대주제는 이처럼 첫 응답과 계속되어 나오는 주제나 응답에 계속 나오다. 간혹 대주제가 없는 경우도 있지만, 대주제가 한번 사용되면 최소한 주제가 모든 성부에 출현할 때까지 주제와 응답을 동반하는 것이 보통이다.

 

■주제의 변형 : 주제를 반대로 진행시키는 반행형(전위형), 뒤에서부터 시작하는 역행형 음길이를 늘리고 줄이는 확대형, 축소형이 있다.

 

■스트레토(stretto) : 작품의 전개과정에서 긴장도를 높이기 위해 주제와 응답이 겹쳐서 나오는데 이르 스트레토라 한다. 보통 푸가의 끝부분에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에피소드(episode) : 주제가 없는 상태에서 조성의 이탈을 향해 가는 짧은 삽입구

 

<분석작품> 바흐의 평균율, 제2권 중 c 단조 푸가

'음악의 이해 > 음악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5부형식  (0) 2008.12.08
화성의 진행  (0) 2008.12.08
다악장 형식  (0) 2008.12.08
소나타형식  (0) 2008.12.08
미뉴엣과 트리오  (0) 2008.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