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의 이해/음악분석

론도형식

우담 윤대근 2008. 12. 8. 23:28

5) 론도형식

  론도형식은 소나타형식에 버금가는 중요한 기악의 형식으로 보통 마지막악장의 빠른 템포로 자주 나타난다.  론도(Rondo)란 ‘둥글다’는 뜻의 이탈리아어로 계속 돌고 돈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론도형식은 같은 주제가 계속적으로 되돌아오는 순환구조를 가지고 있다. 계속적으로 돌아오면서 반복되어지는 론도 주제를 정확한 음악용어로 리프레인(refrain)이라 한다. 리프레인 사이에 만들어진 부 주제를 에피소드(episode) 또는 쿠프레(couplet)라 하여 대비적인 역할을 하며 상호간 몇 번이고 되풀이하고 나간다. 그 경우 론도주제인 리프레인은 언제나 동일하나 부주제인 에피소드는 여러 모양으로 변화하는 것이 보통이다. 한편 리프레인이 4번나오면 큰 론도형식이고, 3번나오면 작은 론도형식이라 한다.  

A

리프레인

B

에피소드1

A

리프레인

C

에피소드2

A

리프레인

B

에피소드1

A

리프레인

<큰 론도형식>


<작은 론도형식>

A

리프레인

B

에피소드1

A

리프레인

C

에피소드2

A

리프레인


<분석곡>

하이든 Sonata No.33 D장조 가운데..

먼저 리프레인을 살펴보면

리프레인(A)이 3번 출연하므로 작은 론도형식이 된다. 리프레인 특징으로는 모두 D장조이고 왼손 화음의 리듬이 오른손 선율과 절묘하게 조화를 이루어 완성된 화음으로 만들어진다. 또한 각 마디의 선율의 모양은 항상 그 이전마디의 마지막음을 연타하면서 계류음의 불협화의 묘미(2마다,3마디)가 나타나고 있다. 또한 왼손의 특이한 리듬이 2박자의 강약교대의 현상을 완화시켜 나가고 있다. 두 번째 리프레인은 첫 번째와 동일하지만, 세 번째 리프레인에서는 반복 없이 반복된 만큼 왼손에 많은 변화가 이루어져 리프레인이 색다르게 나타난다. 즉, 8마디 후 왼손의 리듬이 알베르티베이스로 반주형이 바뀌고, 후반부엔 2도간격의 트릴모양의 반주형이 자주 출현하여 다이나믹하게 종결로 이끌고 있다. 그리고 끝부분 2마디의 간단한 코다가 붙여있다.


에피소드는 무언가 일회적이다는 느낌이 있듯이 지나가는 성격으로 작곡되어지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상대적으로 덜 중요한 듯한 느낌을 주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에피소드는 계속적으로 맴도는 리프레인 사이의 단순한 연결구가 아니라 리프레인과 대비를 이루는 중요한 역할이 분명히 있다. 다만 작은 론도에서와 같이 에피소드가 한 차례 밖에 나오지 않으니 덜 중요하게 느낄 뿐이다.

하이든의 작품의 첫 번째 에피소드(B)를 분석하면 리프레인과 같은으뜸조인 d단조로 되어 있으며, 선율은  오른손이 주도하고 왼손은 선율을 돕는 화음으로 구성된 호모포니적인 성격으로 만들어져 있다. 또한 앞 동기와 뒤 동기의 구성이 대칭주제에 의해 강약의 대비를 이루고 있으며 오른손에서 왼손으로 모방적 처리로 만들어져(마디34~36) 하이든의 특징이 담겨져 있다.

두 번째 에피소드(C)는 첫 번째와 완전히 다르다. 조성도 G장조로 나오며 왼손의 리듬이 A의 리프레인 리듬적으로 크게 대비(mf부분)가 이루어져 있다. 앞 동기와 대칭주제인 뒤 동기는 왼손과 오른손이 서로 주고받으며(p부분) 맞물려 나가는 흥미로운 짜임새로 만들어 있다. 또한 동기의 전개방법에 있어서도 부분 동기의 변형과 축소, 그리고 반복을 이용한 긴장감 등을 유도하는 방법으로 음악적묘미를 표현한 에피소드라 할 수 있다. 

곧이어 끝부분의 리듬소재에서 연결된 경과구가 있는데 이것은 G장조에서 D장조로 바꿔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하이든은 이 부분에서 공통화음과 빌림화음을 이용한 2차적 딸림화음인 부속화음을 사용하고 있다. 이것은 제시된 어떤 화음을 딸림화음이라 생각하고 그 화음이 완전5도위의 화음(으뜸화음)으로 종지되는 방법을 말하며 이러한 화음의 움직임이 이작품의 경과구에서 선명하게 나타나고 있다.


지금까지의 논의를 바탕으로 이작품의 형식을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부분

마디

기호

조성

리프레인

에피소드1

리프레인

에피소드2

경과구

리프레인과 코다

1~20

21~40

41~60

61~80

81~93

94~134

A

B

A

C

A

D장조

d단조

D장조

G장조

G장조-D장조

D장조


'음악의 이해 > 음악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성음악의 형식  (0) 2008.12.08
다악장 형식  (0) 2008.12.08
소나타형식  (0) 2008.12.08
미뉴엣과 트리오  (0) 2008.12.08
변주곡  (0) 2008.12.08